적금과 예금

적금 vs 예금 완전 비교! 금리·세금·만기 전략으로 똑똑한 선택법

적금과 예금
적금과 예금

<Image created with MiriCanvas>

요즘 같은 금리 시대, 예금과 적금 중 무엇이 나에게 더 유리할까? 오늘은 적금과 예금의 핵심 차이 비교를 해 볼게요.

🔍 적금과 예금의 핵심 차이 비교

항목예금 (거치식)적금 (적립식)
납입 방식목돈을 한 번에 예치일정 금액을 여러 번(월/주) 나눠서 저축
유형정기예금/보통예금/요구불예금 등정기적금/자유적금/부금 등
이자 발생 시점예치한 시점부터 만기까지 전액에 이자 발생납입 시점마다 잔존 기간에 따라 이자 발생
이자 총액같은 금리일 경우 예금이 더 높음
중도 인출제한적(정기예금은 보통 중도 인출 시 이율 감소)가능하나 의무 납입 미이행 시 기간이 연장 가능

💡 왜 예금이 적금보다 유리한가?

  • 예금은 한꺼번에 높은 금액이 오래 예치되기 때문에 전체 금액에 대해 12개월치 이자가 붙습니다.
  • 반면 적금은 납입 횟수마다 적용되는 이자 기간이 달라, 첫 달엔 12개월치 이자, 마지막 달엔 1개월치만 계산됩니다 .

예:

  • 예금 600만 원 × 연 3.5% = 약 21만 원 이자
  • 적금(매달 50만 원 × 12회) = 약 11만 원 이자

🧭 어떤 상황에 어떤 상품이 적합할까?

  • 목돈이 충분히 있다면정기예금: 이자를 최대로 받을 수 있어 자금 굴리기에 적합.
  • 목돈이 없고, 저축 습관이 필요하다면정기적금: 규칙적으로 모으며 목돈을 만들어 나가기에 적합.
  • 예기치 못한 입출금이 필요하면보통예금(요구불예금): 자유로운 입출금 가능하지만 이자는 적음.
  • 수입이 일정치 않아 변동적으로 저축할 경우자유적금: 납입 금액과 시기를 유연하게 조정 가능 (이율은 정기적금보다 낮음).

📌 1. 예금(정기예금)의 세금 & 수익 계산

  • 세전 이자 = 원금 × 연이율 × (예치일수 ÷ 365)
    • 단리 기준
    • 예: 1,000만 원 × 2% × (365÷365) = 200,000원
  • 세금 = 세전 이자 × 15.4% (국세 14% + 지방세 1.4%
    • 예: 200,000원 × 15.4% = 30,800원
  • 세후 이자 = 세전 이자 – 세금
    • 예: 200,000 – 30,800 = 169,200원
  • 만기 수령액 = 원금 + 세후 이자

📌 2. 적금(정기적금)의 세금 & 만기 환산

  • 매달 일정 금액을 불입할 경우, 적금의 수익은 아래 방식으로 계산합니다
  1. 평균 불입 시점 기준 이자율이 적용되며,
  2. 단순 계산 공식: 연금리 × 0.55 ≈ 실질 연수익률
    • 예: 연 10% 적금 → 실질 수익률 약 5.5%
  3. 정확 계산 공식:
    • 월 납입액 × (연이율 ÷ 12) × (납입 개월 수 + 1) ÷ 2
  • 세금 역시 15.4% 동일하게 적용
  • 만기 수령액 = 납입 원금 + (세전 이자 – 세금)

📌 3. 적금을 예금에 ‘만기 환산’하는 방법

적금을 예금처럼 환산하여 비교할 때는 다음 공식을 사용해보세요:

복사편집예금 환산 금리 ≈ 적금 연금리 × 0.55
  • 예: 연 7% 적금이라면,
    → 7 × 0.55 = 3.85% 예금 환산 금리
  • 예금 금리가 이보다 높다면 예금이 유리하고, 적금 금리가 더 높다면 적금이 유리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

📌 4. 세금 우대 & 비과세 혜택 정리

  • 일반과세: 이자에 15.4% 세금 원천징수
  • 세금우대: 이자에 9.5% 원천징수 (조건: 1인당 3천만 원 이내, 1년 이상 가입 등)
  • 비과세: 한도 내에서 이자소득세 면제 (예: 비과세 종합저축, 5천만 원 한도로 비과세)

📌 5. 계산기 활용 팁

저축은행 중앙회국민, 제주, KDB 등 주요 은행의 금융계산기를 사용하면 세전·세후, 단리·복리, 세금우대·비과세까지 간편하게 비교할 수 있어요

금리 비교

  • 적금은 매달 나눠 넣기 때문에 평균 예치 기간이 짧아, 만기 기준 🔁 실제 밑 이자 낮음
  • 예금은 한 번 예치하면 전체 기간 동안 이자 발생 → 같은 금리라도 🟢 수익률 높음
  • 간단 예시로 비교: 상품기간금리세전 이자정기예금 600만 원 1년12개월3.5%210,000원정기적금 월50만X12개월12개월3.5%113,750원
  • : 금리가 같으면 예금이 더 유리, 금리가 높다 해도 예금이 유리할 수 있음

✅ 세금·만기 환산

  • 이자소득세(세전) = 이자 발생액 × 15.4%
    예: 예금 210,000원 → 세후 약 177,600원
  • 만기 환산 시 꼭 고려할 점:
    • 적금은 회차마다 이자 계산 기준이 다르므로 이자 수익 적음
    • 예금은 만기 시 원금+이자 한 번에 받기 때문에 계산 간단
    • 복리 vs 단리: 복리형은 이자를 다시 투자하여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임

✅ 요약 정리

  1. 예금: 목돈을 한 번에 넣고 일정 기간 동안 맡겨 이자를 받는 방식. 금리가 같다면 이자 수익이 더 높다.
  2. 적금: 매월 또는 일정 주기로 나눠 저축하며, 모아가는 재미와 저축 습관 형성에 유리.
  3. 보통예금/자유적금: 유동성 중심. 입출금 자유롭지만 이율은 상대적으로 낮음.
  4. 활용 팁:
    • “목돈 만들기”엔 → 적금
    • “목돈 굴리기”엔 → 예금
    • 먼저 적금으로 시드머니를 모은 후, 목돈이 생기면 예금으로 옮기는 전략이 일반적

자신에게 맞는 적금 &예금을 찾아서 화이팅~!!

나비컴퍼니 :: 나비씨

답글 남기기

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. Required fields are marked *.

*
*